오늘은 경제 용어 중에서도 PEG에 대해 알아볼게요. PEG, 즉 가격수익성장비율(Price/Earnings to Growth ratio)은 주식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. 이 지표는 기업의 주당이익 대비 주가가 얼마나 고평가 혹은 저평가되어 있는지, 그리고 그 기업의 이익 성장률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. PEG 계산법 PEG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: $[\PEG = \frac{PER}{EPS 성장률 (퍼센트로)}]$ 여기서 PER은 주가수익비율(Price/Earnings Ratio)을 말하고, EPS 성장률은 기업의 주당순이익(Earnings Per Share)의 성장률을 의미합니다. PEG의 의미 PEG < 1: 이는 기업의 주가가 이익 성장률에 비해 저평가되어 있다는 것을 ..
PER, 즉 주가수익비율은 회사의 주가가 그 회사가 벌어들이는 순이익에 비해 얼마나 높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 주식시장에서 투자자들이 회사의 가치를 판단할 때 자주 사용하는데요, PER을 활용한 상대가치평가 방법은 말 그대로 다른 회사들과의 PER을 비교함으로써 특정 회사의 주식이 고평가되었는지, 저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방식입니다. PER 계산 방법 PER은 아래의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: $( PER = \frac{주식의 시장가격}{주당 순이익(EPS)} )$ 여기서 주당 순이익(EPS)는 회사의 순이익을 발행주식 총수로 나눈 값이에요. 이렇게 계산한 PER을 가지고 투자자들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상대가치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. 상대가치평가 방법 업종 평균 PER 비교: 같은 업종 내의 다..
안녕하세요! 오늘은 경제 용어 중 하나인 '기업가치(EV, Enterprise Value)'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😊 기업가치(EV)는 기업 전체의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. 이를 계산할 때 기업의 시가총액, 부채,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을 모두 고려합니다. 기업가치는 투자자가 해당 기업을 완전히 인수하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금액을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. 자, 이제 EV를 계산하는 공식을 살펴볼게요. $[\text{EV(기업가치)} = \text{시가총액(자기자본)} + \text{총부채} - \text{현금 및 현금성자산}$] 여기서: 시가총액: 주식의 현재 가격과 발행된 총 주식 수를 곱한 값입니다. 이는 주식시장에서 기업의 가치를 반영합니다. 부채: 기업이 갖고 있는 총 부채..
안녕하세요! 오늘도 경제 공부를 하러 왔군요! 참 멋집니다. 오늘은 PBR, 즉 주가순자산비율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 합니다. 저번시간 PER과는 유사하지만 미묘하게 다르답니다.📚 PBR (Price-to-Book Ratio, 주가순자산비율) PBR은 기업의 주가가 그 기업의 순자산가치(책임 가치)에 비해 얼마나 높거나 낮게 평가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 계산 방법 $\ PBR = \frac{주가}{주당 순자산가치(Book Value per Share)} $ 여기서 주당 순자산가치는 기업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빼고, 이를 발행 주식 총수로 나눈 값입니다. 해석 방법 PBR 1: 기업의 주가가 ..